★ - 정보/생활

개인택시 법인택시 차이, 구분 어떻게? 번호판 및 비율 몇 대 몇?

돋보기씨 2025. 4. 15. 07:09

목차

     

    개인택시 법인택시 차이, 구분 어떻게? 번호판 비율 몇 대 몇?

     

    택시를 탈 때 '개인'과 '법인' 표시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 두 종류의 택시는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운영 방식과 수익구조에서 아주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가장 중요한 차이점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관상 구분방법

     

    택시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쉽게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1. 지붕 표시

      개인택시는 '개인'이라는 글자가 표시되어 있고, 법인택시는 회사 이름이 적혀 있거나 별도의 표시가 없습니다.


    2. 번호판

      개인택시는 31, 32로 시작을 하고, 법인 택시는 33, 34로 시작합니다.


    3. 뒷자리 문자

      두 택시 모두 '아, 바, 사, 자' 중 하나가 번호판에 포함이 됩니다.


    4. 모범택시

      35, 36으로 시작하며 뒤에 '바'가 붙습니다.

     

    택시 내부에서 운전석 옆 면허증을 보시면 개인택시는 '개인'이라고 표시되어 있고, 법인 택시는 회사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운영 방식 차이

     

    개인택시

     

    • 운전자가 직접 차량과 면허를 소유한 개인사업자 형태입니다.

    •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맞추기 좋습니다.

    • 보통 한 달에 20일 정도 근무를 하며 원하는 시간대에 운행이 가능합니다.

     

     

    법인 택시

     

    • 회시가 차량과 면허를 소유하고 기사를 고용하는 형태입니다.
    • 보통 12시간 교대 근무제로 운영됩니다.

    • 서울 기준으로 월 24~26일 근무하며 공휴일과 연휴에도 근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수익 구조

     

    개인택시 기사는 운행으로 발생하는 모든 수익이 본인에게 돌아갑니다. 하지만 차량 유지비, 보험료, 세금 등 모든 비용도 스스로 부담해야 합니다.

     

    법인택시 기사는 수익을 회사와 나누는 구조로, 대개 총수익의 50~60%를 기사가 가져갑니다. 회사에서 정한 목표 매출을 달성한 후에야 실질적인 수익이 늘어나며, 차량 유지비는 주로 회사에서 부담합니다.

     

     

     

    서울시 택시 현황

     

    2024년 1월 기준, 서울시 택시는 총 7만 1,690대가 운행 중입니다. 이 중 개인택시는 4만 9,087대(68%), 법인택시는 2만 2,603대(32%)로 개인택시의 비율이 훨씬 높습니다.

     

     

     

    시간대별 운행 특성

     

    개인택시는 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개인차이가 있습니다.) 퇴근시간 이후에는 운행을 마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법인택시는 시간대에 관계없이 꾸준히 운행이 되며, 특히 심야 시간대에는 법인택시를 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개인택시 면허 취득 조건

     

    개인택시 면허를 얻으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보통 법인택시에서 3~5년 이상 무사고 경력이 필요합니다.

    2. 최근에는 규정이 완화되어 택시 자격증 소지자 이면서 5년 무사고 기록이 있고 관련 교육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개인택시와 법인택시는 외관부터 운영방식, 수익 구조까지 다양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택시를 이용하실 때 이런 차이점을 알고 계시면 더 나은 선택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