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번 글은 워크아웃 뜻 및 법정관리 그리고 부도와의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워크아웃 이란? 뜻 및 법정관리 부도와 다를까?
워크아웃 뜻
워크아웃이란 부도위기에 처한 기업을 살리기 위해 채권금융기관들이 협의하여 기업의 부채를 동결하고 조정하는 기업구조조정 방식입니다. 워크아웃은 법정관리와 달리 법원의 개입이 없고, 채권금융기관들의 자율적인 협약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워크아웃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총 채권약의 75% 이상의 동의가 있으면 가능하며, 채권금융기관 관련 채권채무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법정관리는 법원이 회생계획을 인가하고, 법원이 지정한 제삼자가 기업의 자금과 활동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법정관리는 모든 채권채무를 동결하고, 채권자나 주주의 이해관계를 조정합니다. 법정관리는 기업의 부실화 정도가 심각하고, 채권단의 협의가 어려운 경에 적용됩니다.
워크아웃 법정관리 부도와 다를까?
워크아웃, 법정관리, 부도는 모두 부도위기에 처한 기업을 구조조정하거나 청산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각가 다음과 같은 차이점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워크아웃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워크아웃은 채권금융기관들이 협의하여 기업의 부채를 동결하고 조정하는 방식입니다. 워크아웃은 법정관리와 달리 법원의 개입이 없고 채권 금융기관들의 자율적인 협약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워크아웃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총채권액의 75% 이상의 동의가 있으면 가능하며, 채권 금융기관 관련 채권채무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법정관리
법정관리는 법원이 회생계획은 인가하고, 법원이 지정한 제삼자가 기업의 자금과 활동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법정관리는 모든 채권채무를 동결하고, 채권자나 주주의 이해관계를 조정합니다. 법정관리는 기업의 부실화 정도가 심각하고, 채권단의 협의가 어려운 경우에 적용됩니다.
부도
부도는 기업이 채무를 상환할 수 없는 상태로, 채권자들이 기업의 자산을 압류하거나 파산을 신청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부도는 기업의 영업을 중단하고, 기업가치를 상실하며, 채권자들에게 회수율이 낮은 손실을 초래합니다.
법정관리와 워크아웃 중 더 나은 방식은?
사실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은 부도위기에 처한 기업을 구조조정하는 두 가지 다른 방식입니다. 두 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어느 것이 더 나은 방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일반저그올 비교할 수 있는 몇 가지 측면들은 존재합니다.
워크아웃 장점 및 단점
신속하고 유연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기업의 경영권을 유지시킬 수 있어 기업의 자구 노력을 촉진하고, 기업 가치를 보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워크아웃은 국제통화기금 (IMF)도 높이 평가한 제도입니다.
단점은 채권금융기관 관련 채권채무만 동결되므로, 상거래채무나 조세채무 등은 여전히 부담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워크아웃은 부실을 초래한 기존 경영진이 경영권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법정관리 장점 및 단점
장점은 기업의 모든 채권채무를 포함해서 진행되므로 좀 더 포괄적으로 채무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법정관리는 공평한 손실 분담을 통해 채권자나 주주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은행권을 설득해 자금을 지원받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또한, 법정관리는 기업의 영업을 중단하거나 경영권을 잃을 수 있어 기업의 위기회복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