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보/경제

가격변동준비금 이란? 뜻, 정의 포스팅

돋보기씨 2024. 1. 10. 06:13

 

이번 글은 가격변동준비금에 대해서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가격변동준비금 이란? 뜻, 정의 포스팅

 

가격변동준비금의 의미와 목적

 

  • 가격변동준비금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이나 유가증권 등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비하여 적립하는 준비금입니다.
  • 가격변동준비금은 비용으로 계상하지 않고, 특정준비금으로 분류됩니다. 특정준비금은 상법상 이익처분의 방법으로 적립하거나, 손금으로 계상하지 않고 당기순이익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적립할 수 있습니다.
  • 가격변동준비금은 재고자산이나 유가증권의 가격 변동에 따른 손실을 미리 예상하고 대비하는 것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이익을 안정화하고, 장기적인 경영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가격변동준비금의 적립과 환입

 

해당준비금은 재고자산이나 유가증권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적립할 수 있습니다. 적립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고자산의 경우: 재고자산의 시가와 장부가액의 차액을 가격변동준비금으로 적립한다.
  • 유가증권의 경우: 유가증권의 시가와 장부가액의 차액을 가격변동준비금으로 적립한다. 단, 투자신탁회사의 경우에는 신탁 안정 조정금을 적립할 수 있다. 신탁 안정 조정금은 투자신탁회사가 신탁재산 운용에서 발생하는 매매익이나 평가액의 일정 부분을 적립하는 것이다.

 

가격변동준비금은 재고자산이나 유가증권의 가격이 상승하거나, 처분하거나, 폐기하거나, 손상하거나, 소멸하거나, 기타 사유로 가격변동준비금의 적립이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환입할 수 있습니다. 환입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응형

 

  • 재고자산의 경우: 가격변동준비금의 장부가액과 재고자산의 시가와의 차액을 환입한다.
  • 유가증권의 경우: 가격변동준비금의 장부가액과 유가증권의 시가와의 차액을 환입한다. 단, 투자신탁회사의 경우에는 신탁 안정 조정금을 환입할 수 있다. 신탁 안정 조정금은 투자신탁회사가 신탁재산 운용에서 발생하는 매매손이나 평가손의 일정 부분을 환입하는 것이다.

 

 

가격변동준비금 장단점

 

장점

 

  • 해당 준비금은 재고자산이나 유가증권의 가격변동에 따른 손실을 미리 예상하고 대비하는 것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이익을 안정화하고, 장기적인 경영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가격변동준비금은 비용으로 계상하지 않고, 특정준비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준비금은 재고자산이나 유가증권의 가격이 상승하거나, 처분하거나, 소멸하거나, 기타 사유로 가격 변동준비금의 적립이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환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고 효율적인 자산 관리가 가능합니다.

 

단점

 

  • 해당 준비금은 재고자산이나 유가증권의 장부가액을 감소시키고, 가격변동준비금의 장부가액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적립하기 때문에, 기업의 자산가치가 과소평가될 수 있습니다.
  • 가격변동준비금은 시장 금리의 변동에 따라 대출의 이자율이 정기적으로 조정되는 변동금리 대출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금리 상승 시에는 월 납입금액이 증가하고, 금리 하락 시에는 월 납입금액이 감소하는 리스크를 감수해야 합니다.
  • 가격변동준비금은 세법상 명문 규정이 없기 때문에, 세무조사나 감사 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