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번 글은 행동경제학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행동경제학은 다양한 정책적 활용이 가능한 이론으로써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데요. 과언 어떠한 이론이고 사례를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행동 경제학 이론 및 사례 요약 예시 어떻게 할까?
행동 경제학이란?
해당 학문은 인간의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들이 경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행동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가정인 합리적인 인간이라는 개념에 반대하며, 인간은 제한된 합리성과 감정에 의해서 선택을 하고, 비합리적인 행동을 보인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행동경제학은 심리학, 신경과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을 통해 인간의 행동을 분석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론
행동경제학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는 프로스펙트 이론 (Prospect Theory)입니다. 포스펙트 이론은 다니엘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가 1979년에 제시한 이론으로, 인간은 이익과 손실을 절대적인 크기가 아니라 상대적인 변화로 인식을 하고, 손실에 대한 고통이 이익에 대한 기쁨보다 크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 잃는 것이 100만 원을 얻는 것보다 더 큰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한다는 것이 프로스펙트 이론입니다. 또한, 이 이론은 인간은 이익 앞에서는 위험을 회피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손실 앞에서는 위험을 추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100만 원을 확실히 받거나, 50%의 확률로 200만 원을 받는 것 중에서 선택을 하고자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100만 원을 확실하게 받는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100만 원을 확실히 잃거나 50%의 확률로 200만 원을 잃게 되는 것을 선택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50%의 확률로 200만 원을 잃는 선택을 할 것입니다.
사례
행동경제학은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책적인 활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퇴직연금(401K) 제도는 행동경제학을 성공적으로 활용한 사례로 꼽힙니다. 미국은 낮은 퇴직연금 가입률을 두고 고민하던 중, 퇴직연금의 초기 설정 즉 디폴트 옵션을 변경하기로 하였습니다.
기존에는 퇴직연금에 가입하려면 직접 신청을 해야 했지만, 새로운 제도에서는 퇴직연금에 자동으로 가입이 되고, 탈퇴를 하려면 직접 신청해야 하는 방식으로 바꿨습니다. 이렇게 하면 인간의 행동적 관성으로 인해 퇴직연금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 결과, 퇴직연금 가입률은 65%에서 95%로 크게 상승했습니다.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실제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해당 학문은 주류경제학과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제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